지은이 안병철(베드로 신부)
2003년 2월 28일 초판 1쇄 펴냄
2019년 3월 1일 개정 1판 4쇄 펴냄
이 책은 구약성경을 주로 인용하여 기술되었으나 남아 있는 역사적 사실을 더해서 객관적으로 서술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.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는 기원전 2000년대 전반 아브라함이 메소포타미아를 떠나 가나안으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. 이스라엘 땅은 지리학적으로는 ‘팔레스티나’라고 한다. 팔레스티나는 아열대 기후로 농업과 목축이 중요한 경제적 기반이었다. 주요 생산품은 올리브, 포도, 채소, 밀, 보리 등 지중해성 농작물이었다. 여기에 제시된 연대는 주로 성경이나 역사적 사실로 추정된 것들이다. 구약성경을 읽을 때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.
이스라엘 역사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.
❍ 족장 이전 시대(기원전 10000년 ~ 2000년 경)
❍ 족장시대(기원전 2000년 ~ 1650년 경)
- 씨족을 중심으로 구성된 가부장적 유목민 사회에서 세습적 권위를 가진 족장에 의해 지배. 아브라함,이사악,야곱 요셉 등
- 요셉이 이집트 고위 관료로 있을 때 그의 아버지 야곱이 가족들을 이끌고 이집트로 이주하여 430년(?)을 살았다.
❍ 판관시대(이집트 탈출과 가나안 정착, 기원전 1650년 ~ 1000년 경)
- 여호수아 때부터 왕조 초기까지 이스라엘 지도자는 판관들이었다. - 드보라, 기드온, 삼손 등
- 이집트를 탈출하여 40여 년간 광야에서 유랑생활을 하던 중에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야훼 하느님과 계약을 맺고
십계명 을 받았다. 이스라엘 종교의 기초가 됨.
- 가나안(팔레스티나) 정복 : 기적적으로 요르단 강을 건너고 예리코 성벽을 무너뜨린 후 팔레스티나 전 지역을 장악했다. - 열 두 지파의 지배 : 남부 지역은 유다와 시메온 지파, 중부 지역은 에프라임, 므나쎄, 벤야민 지파, 북쪽 지역은 즈블룬, 납탈리, 아세르, 이사카르, 단 지파가 지배
❍ 통일 왕국 시대(기원 전 1000년 ~ 931년)
- 계약 궤가 필리스티아인들에 의해 탈취되어 20여 년 동안 방치되는 사건으로 인해 이스라엘 사람들은 왕을 요구하게 되자 사무엘은 이를 받아들였다.
- 사무엘이 벤야민 지파의 사울에게 기름을 부어 왕으로 세웠다.
- 사울의 뒤를 이어 왕이 된 다윗은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으로 간주되며, 통치기간 동안 7년은 유다 왕으로 그리고 33년은 통일 이스라엘 왕으로 다스렸다.
- 다윗은 여부스족이 차지하고 있던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여아람에 방치되어 있던 계약 궤를 예루살렘의 성막으로 옮겨 놓았다.
- 다윗 왕국의 본토는 한 쪽 구석으로 밀려난 필리스티아를 제외하고 가나안의 거의 모든 지역을 포함하게 되었고, 모압, 에돔, 암몬 등 주변국까지 지배권을 미치게 되었다.
- 다윗의 아들 솔로몬 왕은 이스라엘의 황금시대를 열었고, 7년에 걸쳐 이스라엘 성전을 건축하여 계약 궤를 안치했다.
❍ 분열 왕국 시대(북이스라엘, 기원전 931년 ~ 722년 / 남유다, 기원전 931년 ~ 587년)
- 솔로몬이 죽고 그의 아들 르하브암이 왕권을 이어 받자, 솔로몬에게 쫓겨 이집트로 망명했다가 돌아온 예로보암이 에프라임과 므나쎄 등 열 지파를 합해 북왕국 이스라엘을 수립하면서 이스라엘 왕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었다.
- 북왕국 이스라엘은 호세아 왕 시대에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하였고, 남유다는 여호야킨이 즉위한 지 3개월 만에 바빌론의 네부카드네자르가 예루살렘을 함락시켰다. 이 때에 성전도 파괴되었다.
- 이 시대 이사야, 미카, 예레미아는 남유다에서 활동한 예언자들이다.
❍ 바빌론 유배시대(기원전 587년 ~ 539년)
- 유다인들은 바빌론으로 사로잡혀가 바빌론이 페르시아에게 멸망할 때까지 반 세기여의 세월을 거기서 살아야 했다. 이때 팔레스티나 밖 곳곳에 흩어져 정착한 유다인 공동체를 ‘디아스포라’라고 한다.
❍ 페르시아 지배 시대(기원전 539 ~ 331년 경)
- 기원전 539년 바빌론을 멸망시킨 페르시아는 키루스 2세에 의해 건설된 제국이다. 페르시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끄는 그리스 제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200여 년 정도 지속되었다.
- 이스라엘 백성은 키루스 칙령에 따라 고국으로 귀환하였고, 예루살렘 재건도 허락되었다. 이후 이스라엘 백성은 3차에 걸쳐 팔레스티나로 귀환했다.
- 유다인들은 팔레스티나로 돌아간 뒤 예루살렘 성전 건축에 착수하였고, 사마리아인들의 방해 등으로 중단되다가 16여 년이 흐른 뒤 기원전 520년경에 재개되어 기원전 515년에 완공되었다.
- 이시대에 모세5경에 이어 역사서가 태어났다.
❍ 그리스 지배 시대, 헬레니즘 시대(기원전 331년 ~ 63년 경)
- 마케도니아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출현하여 그리스 제국을 이룩하고, 기원전 331년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를 격파하여 페르시아를 점령하였다.
- 그리스 문화 헬레니즘은 그리스 고유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된 새로운 문화이다.
- 그리스인들은 올림피아라는 곳에서 제우스를 최고신으로 하여 모여 살았다.
- 유다인들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의해 강제로 또는 새로운 생활터전을 찾아 알렉산드리아로 이주하여 헬레니즘을 기꺼이 받아들였다. 그들은 더 이상 히브리어나 아람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그리스어가 그들의 주 언어가 되었다.
- 이 때에 그리스어로 번역된 경전이 ‘70인역 성경’이다.
❍ 로마 지배 시대(기원전 63년 이후)
'내가 읽은 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생이라는 등산길에서 (0) | 2023.07.26 |
---|---|
책, 믿음이 흔들릴 때 (0) | 2023.07.09 |
기도, 이렇게 하니 좋네요 (0) | 2022.11.17 |
우리를 행복으로 이끄는 성인들 (0) | 2020.11.27 |
이중섭 장편소설 '포토타임' (0) | 2020.11.11 |
댓글